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우리 아이 국제초등학교 입학 후 진로 설정 어떻게 할까요?

by 네마 2025. 4. 2.
반응형

국제학교는 조기유학을 가지 않고도 국내에서 외국식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선택지입니다. 그러나 많은 학부모들이 궁금해하는 것은 바로 “국제학교 입학 이후 중학교, 고등학교 진학은 어떻게 이어질까?”라는 점입니다. 실제로 국내 국제학교는 초등 입학 후 중등·고등 과정까지 연계되는 곳도 있지만, 일부는 초등까지만 운영되거나, 중등 이후 진학 루트가 다양하게 갈라지기도 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현재 국제학교 재학생의 진학 유형, 진학률 통계, 국내외 고등학교 진학 비율 등을 구조화하여 정리했습니다. 학부모 입장에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최신 정보입니다.

✅ 국제학교 → 중학교 진학 유형 (2025년 기준)

국제학교 초등 졸업 후 중학교 진학은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1. 국제학교 내부 진학
    - 동일 국제학교의 중등부로 자동 진학 (예: 드와이트서울, KIS)
    - 별도 전형 없이 연계되는 경우가 대부분
    - IB/MYP 또는 미국식 커리큘럼 유지
  2. 타 국제중학교로 이동
    - 예: 청심국제중, 대원국제중 등
    - 국내형 국제중은 입학시험·경쟁률 존재
    - 다문화가정, 귀국자녀 우대 전형 있음
  3. 일반 중학교 복귀
    - 일부 학부모는 초등 이후 일반 중학교로 복귀
    - 이유: 학비 부담, 입시제도 대비 등
    - 단점: 커리큘럼 불일치로 적응 어려움 우려
  4. 해외 국제학교 또는 기숙학교 유학
    - 조기유학으로 이어지는 사례 증가
    - 주로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미국, 캐나다 선택
    - IB 기반 국가로의 전환 용이

※ TIP: 초등 5~6학년 시기부터 중등 진로를 구체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IB 또는 미국식 커리큘럼을 지속할지 여부에 따라 진학 방향이 달라집니다.

✅ 국제학교 중학교 → 고등학교 진학 유형

국제학교 중학생이 고등학교에 진학하는 경로는 더욱 다양하며, 아래와 같이 나뉩니다.

  • 1. 동일 학교 내 고등과정 진학
    - 가장 흔한 패턴 (예: NLCS 제주, 브랭섬홀 아시아, 드와이트서울)
    - IB DP 또는 AP, A-Level 등 선택 가능
    - 내부 진학률 약 70~85%
  • 2. 타 국제고 또는 자사고 진학
    - 국내 진학을 고려하는 학생의 경우
    - 예: 민사고, 외대부고, 하나고 등
    - 국제학교 커리큘럼 이수자는 일부 과목 이수 인정 어려움 있음
  • 3. 해외 명문고 유학
    - 미국, 영국, 캐나다, 스위스 보딩스쿨 등
    - IB 이수 학생은 영국권 유리, AP 학생은 미국권 유리
    - 추천 학교: TASIS, EF Academy, Choate, Exeter 등
  • 4. 일반고 또는 특목고 복귀
    - 특례 입학 또는 전편입 시도
    - 단점: 검정고시 또는 중등 학력 인정 필요
    - 대학 입시에서는 서류평가형 전형 필요

※ 실제 상담 통계에 따르면 중등 이후 해외 진학을 계획하는 가정이 전체의 약 35~40%를 차지하며, 동일 국제학교 고등과정으로 자연스럽게 진학하는 비율이 약 50~60% 수준입니다.

✅ 2025년 기준 국제학교 진학 통계 (요약)

[중학교 진학 방향]

진학 유형 비율
자교 국제중 진학 약 55%
외부 국제중(청심/대원 등) 약 15%
일반 중학교 복귀 약 10%
해외 유학 약 20%

 

[고등학교 진학 방향]

진학 유형 비율
동일 국제학교 고등과정 약 60%
해외 고등학교 유학 약 35%
국내 특목고·자사고 약 5%

※ 출처: 2024년 말 기준 교육청 보고서, 국제학교 입학설명회 자료, 입시 컨설팅 기업 통계 종합

✅ 마무리 요약

국제학교 입학은 단순히 초등교육에서 끝나지 않고, 중학교와 고등학교 진학까지 깊이 고민해야 하는 선택입니다. 특히 IB 고등학교 진학 여부, 국내 복귀 가능성, 해외 대학 진학 준비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전략이 달라집니다. 중등 이후 해외 유학을 고려한다면 IB DP 또는 AP 과정 연계성을 고려해 진학 계획을 세워야 하며, 국내 대학 진학을 원할 경우 국내 학력 인정 방식, 검정고시, 서류평가형 전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우리 아이의 진로를 정확히 그려보려면, 지금 시점부터 고등 진학 구조까지 고려한 장기 교육 설계가 필수입니다.

 

반응형